
아이폰 외에도 다양한 기기에서 비슷한 스파이웨어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기는 페가수스와 유사한 상업용 스파이웨어(예: RatMilad, FurBall, PhoneSpy)와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한 표적 공격에 자주 노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한국에서 발견된 PhoneSpy는 1,000대 이상의 안드로이드 기기를 감염시켜 데이터를 탈취하고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또한, 구글 TAG는 안드로이드와 iOS, 크롬 브라우저의 취약점을 이용해 스파이웨어를 설치하는 공격이 여러 국가에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 iOS(아이폰) 외 기타 애플 기기: iOS 역시 페가수스 외에도 다양한 스파이웨어 공격의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iOS의 웹킷 취약점 등을 악용해 원격 코드 실행 및 샌드박스 탈출을 통한 스파이웨어 설치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 PC 및 IoT 기기: 스파이웨어는 PC(윈도우, 맥)뿐 아니라, 가정용 공유기, 월패드 등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공격 대상을 넓히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이러한 기기들에 대한 악성코드 및 스파이웨어 적발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스파이웨어 공격은 아이폰뿐 아니라 안드로이드, PC, IoT 등 다양한 기기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표적화·고도화되는 추세입니다.